심장병
사물의 중심이 되는 부분을 「심장부」라고 말하듯이, 심장은 우리의 인체 중에서 무엇보다도 소중한 것입니다.
그러나 그런 심장도 병과 인연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심장병은 일어나고, 어떻게 치료할까요?
여기에서는 심장병의 원인이나 대표적인 치료법 등을 소개해 나갈 것입니다.
심장병을 알자
심장병은 많은 사람이 골치를 썩고 있는 병의 하나입니다.
의학의 발달로 외과 수술에 의한 치료가 가능하게 된 현대에 와서도 난치병인 것에는 변함없습니다.
심장병의 원인
어떤 병에는 반드시 원인이 있습니다.
그것은 생활 습관이 원인이거나 선천적으로 가지고 있던 것이기도 합니다.
- 선천적인 이상
선천적인 이상을 원인으로 하는 심장병은 심방중격결손이나 심실중격결손등과 같이 심장이나 혈관의 기형 때문에 이상이 나타나는 것이 많습니다.
이러한 선천적 심장질환은 정도나 개인차에 따라 성장과 함께 자연으로 치유되는 경우가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시급하게 수술을 하여 치료할 필요가 있습니다.
- 생활 환경
생활 환경을 원인으로 하는 심장병의 경우, 고혈압이나 동맥 경화 등의 생활 습관성 질환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매우 많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생활 습관성 질환의 상당수는 혈관이나 혈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므로, 혈류를 제어하고 있는 심장에도 영향이 있습니다.
- 체외로부터의 영향
일부의 심장질환은 건강한 사람이라도 무엇인가의 충격으로 인해 일어나는 것이 있습니다.
심장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는 것으로 일어나는 「심실세동」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또, 심장에 데미지가 없어도 이코노미 클래스 증후군 등에서 생긴 혈전이 심장에 보내지는 것으로 심부전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심장병 치료의 최전선
심장병의 치료는 오랫동안 내과 치료를 위주로 하는 대증요법이 주류였습니다.
심장은 혈액을 전신에 순환시키기 위해서 항상 대량의 혈액을 내부에 모으고 있기 때문에 외과 수술을 행해 절개하면 돌이킬 수 없는 사태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고, 만일 수술에 성공해도 소생에 실패할 가능성이 있는 것 등, 외과 수술에 의한 심장의 치료는 매우 리스크가 높은 것이었습니다.
심장병의 내과 치료
기본적으로 심장병을 약으로 치료하는 경우는 혈압 승강제나 혈관 확장제 등을 증상에 맞추어 처방합니다.
심장병 환자에게 처방되는 약으로서 유명한 것이 다이너마이트의 원료로서도 알려진 니트로 글리세린입니다.
니트로 글리세린에는 혈관 확장 효과가 있어 협심증 등에 효과가 있습니다.
현재, 의료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니트로 글리세린은 폭발하지 않게 다른 물질을 화합하고 있기 때문에 위험성은 낮습니다.
심장병의 외과 치료
오랜 세월 손을 댈 수 없었던 심장의 외과 치료는 인공 심폐 장치의 개발에 의해서 실용화의 길이 열렸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인공 심폐 장치는 심장과 폐의 기능을 인공적으로 대행하는 기계로, 1953년에 행해진 수술이 성공한 것에 의해서 급속히 보급해 심장병의 치료를 크게 발달시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