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의학

심장판막증

인포군 2016. 7. 5. 18:16
반응형

지구상의 모든 것에는 중력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인간의 체내도 그 예외가 아니고 혈관이나 심장에는 중력 등에 의한 혈액의 역류를 막기 위한 판막이 무수히 존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 판막이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않게 되면 어떻게 될까요?



심장판막증이란




인간의 체내에 있는 판막은 주로 혈액의 역류를 막기 위해서 갖춰진 것입니다.


그 중에서도 심장에 위치하는 판막은 심장으로부터 전신에 혈액을 전달하는 기능을 최대한으로 하기 위해서는 빠질 수 없는 것입니다.


심장판막증은 심장의 판막이 기능 부전을 일으키는 것으로 발생하는 병입니다.



분류




심장판막증은 기능 부전에 걸린 판막에 의해서 분류됩니다.


또, 판막의 기능 부전의 형태에 의해서도 분류될 수가 있습니다.



    • 대동맥판막협착증


대동맥판막협착증은 전신에 혈액을 전달하는 대동맥측의 대동맥판막이 협착하는 심장판막증입니다.


혈액을 보다 강하게 전달하기 위해서 좌심방·좌심실에 부담이 가게되어 좌심비대를 일으키는 일이 있습니다.


    • 대동맥판막폐쇄 부전증


대동맥판막폐쇄 부전증은 대동맥판막의 닫는 힘이 약해진 것으로 혈액이 역류하기 쉬워집니다.


    • 승모판협착증


승모판협착증은 폐로부터 산소를 거두어들인 혈액의 역류를 막는 승모판이 협착을 일으키는 심장판막증입니다.


    • 승모판 폐쇄 부전증


승모판 폐쇄 부전증은 승모판이 닫기 어려워지는 것으로 허파정맥으로 역류를 일으키기 쉬워지는 병입니다.


    • 삼첨판막협착증


삼첨판막은 대정맥으로부터 보내져 온 혈액을 오른쪽 심방에 역류시키지 않게 하는 판막입니다.


삼첨판막협착증은 삼첨판막이 협착을 일으키는 병입니다.


    • 삼첨판막 폐쇄 부전증


삼첨판막 폐쇄 부전증은 삼첨판막이 닫기 어려워져 정맥의 피가 역류를 일으키는 병입니다.



증상




심장판막증에서는 심장에 모아진 피가 역류하여 몸 전체에 돌아오는 일은 없습니다.


그러나 혈액을 올바르게 전달하려고 심장에 강한 부담이 가해지기 쉬워져, 심부전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매우 높아집니다.


또, 혈액이 체류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혈중의 응고 성분이 굳어지고 혈전을 만드는 일이 있습니다.


이 혈전이 뇌로 옮겨가면 뇌경색의 원인이 됩니다.



원인




심장판막증의 원인으로는 선천적인 이상이나 동맥 경화 등이 있습니다만, 주된 원인이 되어 온 것이 류머티스열입니다. 이 류머티스열은 관절 류머티스와는 다른 병으로, 주로 세균 감염을 원인으로 해서 일어납니다.


류머티스열에 감염되면 심장 내부에서 염증을 일으키는 일이 있어, 이 염증이 심장판막증의 원인이 됩니다.



벌룬 펌핑법




협착을 일으키고 있는 경우, 카테터 도입에 의한 벌룬 펌핑법으로 판막의 개방을 재촉합니다.


그러나, 벌룬 펌핑법은 심장판막증에는 확실한 치료법이라고는 말하지 못하고 재발의 가능성이 남아 있을 수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판막치환술·판막형성술




종류에 따라서는 판막 그 자체에 손보는 수술을 행합니다.


주로 판막의 형태를 정돈하고 기능을 되찾는 「판막형성술」과, 이상이 있는 판막을 인공판막에 옮겨놓는 「판막치환술」이 있습니다.


이러한 수술을 행하는 것으로 심기능의 회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건강,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장의 구조와 움직임  (0) 2017.08.08
심부전  (0) 2016.07.05
부정맥  (0) 2016.06.29
협심증  (0) 2016.06.27
심근경색  (0) 2016.06.27